라벨이 Java인 게시물 표시

Windows 11에 JDK 17 (Java 17) 설치하기: 초보자도 쉽게!

이미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Java 개발을 시작하기 위한 첫걸음, JDK(Java Development Kit) 17 버전을 Windows 11 환경에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JDK 17은 LTS(Long Term Support) 버전으로 장기간 안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어 많은 개발자와 학습자에게 추천되는 버전입니다. 왜 JDK를 설치해야 할까요? Java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JRE - Java Runtime Environment), 직접 Java 코드를 작성하고 컴파일하려면(JDK) Java 개발 도구가 필요합니다. JDK는 JRE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 컴파일러(javac), 디버거 등 개발에 필요한 도구들이 추가로 들어있습니다. Oracle JDK와 OpenJDK가 대표적인데, 기능적으로 큰 차이는 없습니다. 학습용이나 개인 프로젝트에는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상업적 이용 시 라이선스 정책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Oracle JDK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윈도우 운영체제 사양 확인 (DirectX 진단 도구 사용) JDK 다운로드 시 자신의 운영체제(특히 32비트인지 64비트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다음은 DirectX 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실행 창 열기: 키보드에서 Windows 로고 키 와 R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화면에 '실행'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dxdiag 입력 및 실행: '실행' 대화상자의 '열기(O):' 입력란에 dxdiag 라고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거나 Enter 키를 누릅니다. DirectX 진단 도구 확인: 잠시 후 'DirectX 진단 도구' 창이 열립니다. 만약 처음 실행하는 경우 "드라이버가 디지털 서명되었는지 확인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Y)]를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운영 체제 정보 확인: 'Di...

인텔리제이(IntelliJ) 초간단 설치 가이드!

이미지
안녕하세요, 개발자 여러분! 코딩 여정을 시작하거나 새로운 개발 환경을 찾고 계신가요? 오늘은 가장 인기 있는 Java 통합 개발 환경(IDE) 중 하나인 인텔리제이(IntelliJ IDEA) 설치 방법을 즉시 마스터할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무료 버전인 Community Edition 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인텔리제이(IntelliJ), 왜 사용해야 할까요? 잠깐! 설치 전에 인텔리제이가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볼까요? 제작사: JetBrains (개발 도구 명가!) 정의: 강력한 기능을 자랑하는 통합 개발 환경(IDE) 특징: 스마트한 코드 완성, 편리한 디버깅, 다양한 플러그인 생태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등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Java, Kotlin, Spring 프레임워크 사용자들에게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죠! 버전: Community Edition: 무료! (Java, Kotlin, Groovy, Scala 등 JVM 언어 개발에 충분) Ultimate Edition: 유료 (웹 개발, 데이터베이스 도구 등 추가 기능 제공) - 30일 무료 평가판 제공 이 글에서는 Community Edition 설치를 진행합니다. 1단계: 인텔리제이 다운로드 페이지 접속 가장 먼저 인텔리제이 설치 파일을 받아야겠죠? IntelliJ Community 다운로드 (2025.1.1.1 Windows 버전) 위의 버튼을 눌러서 바로 다운로드 받거나, 아래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로 접속합니다. JetBrains IntelliJ IDEA 다운로드 페이지 페이지에 접속하면 운영체제(Windows, macOS, Linux)에 맞는 버전을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Community 버전 아래의 .exe (Windows 기준) 다운로드 버튼 을 클릭합니다. macOS 사용자는 .dmg 파일을 받으시면 됩니다. 2...

[Java] CompletableFuture 완벽 가이드: 비동기 프로그래밍 핵심 사용법

이미지
자바 8은 개발자들에게 강력한 기능들을 선물했습니다. 그중에서도 비동기 프로그래밍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CompletableFuture 는 단연 돋보이는 기능입니다. 기존의 Future 인터페이스가 가진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보다 유연하고 조합 가능한 비동기 처리를 가능하게 해주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CompletableFuture 의 등장 배경과 핵심 기능, 그리고 사용법을 예제 코드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Future의 한계와 CompletableFuture의 등장 배경 Java 5에서 Future 가 도입되면서 비동기 작업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되었지만, 몇 가지 불편한 점들이 존재했습니다. 외부에서의 완료 불가: Future 는 일단 시작되면 외부에서 명시적으로 완료시킬 수 없었습니다. 오직 작업이 끝나거나 get() 메소드의 타임아웃을 통해서만 상태를 알 수 있었습니다. 블로킹 get() : 작업 결과를 얻기 위해 get() 메소드를 호출하면, 결과가 준비될 때까지 현재 스레드가 블로킹(대기) 상태가 됩니다. 이는 비동기 처리의 이점을 상쇄시키는 요인이었습니다. 조합의 어려움: 여러 Future 객체를 연쇄적으로 처리하거나(예: 첫 번째 작업의 결과를 두 번째 작업의 입력으로 사용), 여러 작업의 결과를 조합하는 것이 복잡했습니다. 예외 처리의 번거로움: 비동기 작업 중 발생한 예외를 섬세하게 처리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Future 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선언적이고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타일에 맞는 비동기 처리를 지원하기 위해 Java 8에서 CompletableFuture 가 등장했습니다. CompletableFuture 는 Future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CompletionStage 인터페이스도 구현하여, 다양한 조합 및 콜백 기능을 제공합니다. 2. CompletableFuture 핵심 기능 살펴보기 CompletableFuture 는 크게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비동기...

Java Lombok 마스터하기: 반복 코드 확 줄이고 개발 생산성 200% 올리는 법

이미지
Java로 개발을 하다 보면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코드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객체(DTO, VO, Entity 등)를 만들 때마다 Getter, Setter, 생성자, toString() , equals() , hashCode() 메서드 등을 구현해야 하죠. 이러한 기계적인 코드 작성은 개발 시간을 소모시키고, 클래스 파일의 길이를 늘려 가독성을 떨어뜨리기도 합니다. 이런 불편함을 해결해주는 아주 유용한 라이브러리가 바로 Lombok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Lombok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Lombok이란? Lombok은 Java 라이브러리로, 어노테이션(Annotation)을 사용하여 컴파일 시점에 반복적인 자바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도구입니다. 개발자는 Lombok 어노테이션을 클래스나 필드에 추가하기만 하면, Getter, Setter, 생성자, toString() 등의 메서드를 직접 작성할 필요 없이 Lombok이 대신 만들어줍니다. 예시: Lombok 사용 전후 비교 Lombok을 사용하지 않을 때: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ublic Member(String id, String name, int age) { this.id = id;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Stri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

Java 21, 뭐가 달라졌을까? 가상 스레드부터 패턴 매칭까지 핵심 변경점 총정리

이미지
2023년 9월 19일, 드디어 Java 21 이 LTS(Long-Term Support) 버전으로 우리 곁을 찾아왔습니다. Java 17의 뒤를 잇는 중요한 릴리스인 만큼, 개발자들의 많은 기대를 받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Java 21에 정식으로 포함된 핵심 기능들을 중심으로, 어떤 변화들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Preview 및 Incubator 단계의 기능은 제외하고 정식 기능 위주로 설명합니다.) 1. 더 똑똑해진 컬렉션: Sequenced Collections (JEP 431) 기존 자바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는 List , Deque , SortedSet 등 순서가 있는 컬렉션에서 첫 번째나 마지막 요소, 또는 역순으로 요소에 접근하는 방식이 일관되지 않아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JEP 431 (Sequenced Collections) 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equencedCollection , SequencedSet , SequencedMap 이라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도입했습니다. 이 인터페이스들은 다음과 같은 통일된 메소드를 제공합니다: getFirst() : 첫 번째 요소 반환 getLast() : 마지막 요소 반환 addFirst(E) : 맨 앞에 요소 추가 addLast(E) : 맨 뒤에 요소 추가 removeFirst() : 첫 번째 요소 제거 후 반환 removeLast() : 마지막 요소 제거 후 반환 reversed() : 컬렉션의 역순 뷰(View)를 제공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다양한 순서 기반 컬렉션에서 일관된 API로 데이터를 더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LinkedHashSet 에서도 reversed().stream() 과 같이 역순 스트림 처리가 간편해집니다. 2. 혁신적인 동시성 처리: Virtual Threads (JEP 444) 드디어! 많은 개발자들이 기다려온 가상 스레드(Virtual Threads) 가 Java 21에 정식으로 포함되었습니...

[Java] JSON & Gson 완벽 정복: 개념부터 실전 활용까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대 웹 개발과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빼놓을 수 없는 데이터 형식인 JSON과, Java 환경에서 이를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Gs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JSON이란 무엇일까요?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본래 JavaScript에서 객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던 문법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특정 언어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데이터를 교환 하기 위한 표준 데이터 형식 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마치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소통하기 위해 공용어(Lingua Franca)를 사용하듯, 서로 다른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JSON이라는 표준화된 형식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특히 웹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형식 중 하나입니다. 간단한 JSON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 "name": "홍길동", "age": 30, "isStudent": false, "courses": ["Java", "Web Development"], "address": { "street": "세종대로", "city": "서울" } } 위 예시는 이름이 "홍길동"이고, 나이가 30세이며, 학생이 아니고, 수강하는 과목이 "Java", "Web Development"이며, 주소 정보까지 포함하는 하나의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직관적으로 어떤 데이터인지 파악하기 쉽죠? 2. JSON의 기본 문법...

Javascript CDN 사용, 다시 생각해봐야 하는 이유

웹 개발의 속도와 편의성을 높여주는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은 이제 너무나 익숙한 기술입니다. 특히 jQuery, React, Vue 등 다양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CDN 주소 한 줄만 추가하면 별도의 다운로드 없이 간편하게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은 매력적입니다.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곳에서 파일을 전송해주니 웹사이트 로딩 속도 개선에도 기여합니다. 하지만 이처럼 편리해 보이는 Javascript CDN 사용이 항상 최선일까요?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듯, CDN 사용에는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몇 가지 문제점들이 숨어 있습니다. 무조건적인 CDN 사용보다는 그 이면의 고려 사항들을 짚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1. 보이지 않는 손: 프라이버시와 보안 문제 우리가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일반적으로 해당 사이트 운영자 외에는 우리의 방문 기록을 알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해당 웹사이트가 Javascript 라이브러리를 CDN을 통해 로드한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CDN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역시 우리의 방문 사실과 어떤 라이브러리를 요청했는지 알게 됩니다. 물론 대부분의 CDN 기업은 수집된 로그 정보를 악용하지 않는다고 밝힙니다. 하지만 데이터 유출 사고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잘 알려지지 않은 CDN 업체의 보안 수준까지 우리가 신뢰하기는 어렵습니다. 단순히 방문 기록 노출을 넘어, 만약 CDN 서버 자체가 해킹당한다면 상황은 더욱 심각해집니다. 공격자는 CDN을 통해 배포되는 Javascript 파일에 악성 코드를 심어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모든 웹사이트 방문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웹사이트 운영자뿐 아니라 사용자 모두에게 직접적인 보안 위협이 됩니다. 2. 외부 요인에 흔들리는 서비스 안정성 인기 있는 Javascript CDN 서비스는 전 세계 수많은 웹사이트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해당 CDN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디...

자바스크립트 배열(Javascript Array) 사용법: 기초부터 활용까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웹 개발의 필수 요소 중 하나인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배열(Array)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열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순서대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자료구조입니다. 숫자, 문자열, 객체 등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으며, 각 데이터는 고유한 인덱스(index)를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1. 배열 생성하기: 두 가지 방법 자바스크립트에서 배열을 만드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배열 리터럴 (Array Literal): [] 가장 흔하고 권장되는 방식입니다. 대괄호 [] 안에 원하는 요소(element)들을 콤마(,)로 구분하여 넣어주면 됩니다. // 빈 배열 생성 let fruits = []; // 초기값을 가진 배열 생성 let colors = ["red", "green", "blue"]; //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가진 배열 생성 let mixedArray = [1, "hello", true, null, { name: "John" }]; Array 생성자: new Array() new 키워드와 함께 Array 생성자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어 리터럴 방식이 더 선호됩니다. // 빈 배열 생성 let emptyArr = new Array(); // 초기값을 가진 배열 생성 let numbers = new Array(1, 2, 3, 4, 5); // 주의: 인자가 숫자 하나일 경우 let sizedArr = new Array(5); // [ , , , , ] -> 길이가 5이고 요소가 없는 배열 생성 console.log(sizedArr.length); // 5 console.log(sizedArr[0]); // undefined new Array(5) 처럼 숫자 하나만 인자로 전달하면 해당 숫자를 요소로 갖는 배열...